글로컬대학30 수행 목표
- 의료·바이오, 헬스케어 서비스 관련 융복합 연구 총괄 및 허브 역할 수행
- 신규 융복합 분야 인력 양성 프로그램 개설 지원 ( 임상시험 CRO 전문인력 양성과정 )
교내 분산 자원 집중화 육성 전략
- 의료·바이오융합연구원 산하 연구지원 전담 공동활용 장비지원 센터를 설치하여 융합클러스터 중심 연구 거버넌스 구축 ( 기존 RIC 확대 이전)
- 한림AI 바이오헬스 R&BD 센터 융합 이전
[ 내부 협력 체계 활성화 ]
융합 연구 추진 계획
- 의료·바이오, 헬스케어 서비스 관련 융복합 연구 총괄 및 허브 역할 수행
단기목표 (2025 - 2030)
세부 추진과제 | 실행 기간 |
---|---|
1) R&D 기획단 중심의 융복합 연구 플랫폼 구축 | |
○ 과제(기술) 제안 및 연구 그룹 구성 | ‘25.2 |
○ 외부 전문가 자문 및 컨설팅, 지역 전략사업과의 부합성 검토 | |
○ 기술 수준(특허의 양적/질적 수준) 및 사업화 가능성 분석 | |
2) 연구역량 강화 및 네트워킹 지원 | |
○ 교내‧외 연구센터 소속 연구진들과 기술 교류 ‘피칭 데이’ 운영 | 매년 분기별 1회 지속 운영 |
○ 재단 산하 병원의 의료 연구진들과 기술 교류‧피칭 데이 운영 | |
○ 글로벌 기술 기업의 최신 기술 트렌드 소개 및 피칭 데이 운영 | |
○ 글로벌 수준 연구자들과의 글로벌 네트워킹 지원 매칭 리소스 고도화 | |
3) 글로벌 선도기술 연구소 개설 및 파일럿 연구 지원 | |
○ 글로벌 선도기술 연구소 설립(2~3개) | ‘25~’30 |
○ 파일럿 프로젝트(1~2건/년) 수행 및 고도화 전략 수립 | |
○ 글로벌 선도연구 추진과제(RFP) 도출 및 대형 국책과제 수주 |
중기목표 (2030 ~ 2035)
세부 추진과제 | 실행 기간 |
---|---|
1) R&D 도약 10개년 추진계획 수립 | |
○ 로드맵 수립 | ‘30.2 |
○ 글로벌 전문가 공동연구 및 지역 전략사업과 병행추진 구체화 | |
○ 핵심 기술 선정 후 수준 고도화 및 사업화 가능성 제고 계획 확립 | |
2) 연구역량 강화 및 네트워킹 지원 | |
○ 국내 선도 그룹 연구진들과 인적 및 기술 교류 프로그램 운영 | 매년 연 1회 지속 운영 |
○ 해외 글로벌 탑티어 연구진들과 인적 및 기술 교류 프로그램 운영 | |
○ 센터 소속 연구진들의 글로벌 네트워킹 자원 매칭 리소스 실용화 | |
3) 글로벌 선도기술 연구소 개설 및 파일럿 연구 지원 | |
○ 글로벌 선도기술 연구소 설립(2~3개) | ‘30~’35 |
○ 도약 프로젝트(3~5건/년) 수행 및 탑티어 진입 전략 수립 | |
○ 글로벌 선도연구 추진과제(RFP) 실현 및 대형 국책과제 수주 |
융합 연구 추진 현황
- 2024년 제1기 융합 연구 공모 과제 접수 결과 (총 54명 교원 참여 / 총 20개 과제 접수)
구분 | 소속기관 | 접수현황 | 순위권 차지 (최고점수자 세부 평가 기준) |
||||
---|---|---|---|---|---|---|---|
책임 | 공동 | 소계 | 책임 | 공동 | 소계 | ||
대학 | 정보과학대학 | 11 | 11 | 8 | 8 | ||
자연과학대학 | 3 | 2 | 5 | 2 | 2 | 4 | |
소화기연구소 | 2 | 2 | 2 | 2 | |||
의과대학 | 1 | 1 | 2 | 1 | 1 | ||
미래융합스쿨 | 2 | 2 | 1 | 1 | |||
산학협력단 | 1 | 1 | 1 | 1 | |||
반도체디스플레이스쿨 | 1 | 1 | |||||
경영대학 | 1 | 1 | 1 | 1 | |||
간호대학 | 1 | 1 | |||||
AI융합연구원 | 1 | 1 | |||||
소계 | 20 | 7 | 17 | 12 | 6 | 18 | |
의료원 | 한림대학교성심병원 | 9 | 9 | 4 | 4 | ||
춘천성심병원 | 4 | 4 | 3 | 3 | |||
강남성심병원 | 3 | 3 | 3 | 3 | |||
동탄성심병원 | 3 | 3 | 2 | 2 | |||
강동성심병원 | 1 | 1 | 1 | 1 | |||
소계 | 20 | 20 | 13 | 13 | |||
외부 | 참여기관 | 4 | 4 | 1 | 1 | ||
타대학 | 3 | 3 | |||||
소계 | 7 | 7 | 1 | 1 | |||
총계 | 20 | 34 | 54 | 12 | 20 | 32 |
- 2024년 제1기 융합 연구 공모 선정 과제 총 11개
연번 | *융합유형 | 과제명 | 과제책임자 | 공동연구자 | ||
---|---|---|---|---|---|---|
성명 | 소속 | 성명 | 소속 | |||
1 | BT/IT | 가상환경 착각 공간지각력 검사/훈련 난이도 개인화를 위한 flexible system 구축 | 김선정 | 소프트웨어학부 | 이효정 | 한림대학교성심병원 |
2 | HT/IT | 자연어처리를 이용한 저에너지 낙상 발생 예측 모델 개발 및 위험요인 분석 | 김유섭 | 소프트웨어학부 | 박주옥 김솔아 |
동탄성심병원 |
3 | HT/IT | 불현성 간성뇌증 진단 음성인식 HEP-AIR 시스템 개발 | 박현숙 | 데이터사이언스학부 | 김여진 | 강동성심병원 |
석기태 | 춘천성심병원 | |||||
4 | BT/IT | 국민건강보험 코호트 데이터를 이용한 만성부비동염환자의 치매발생 위험모형 평가 모형 개발 및 실증 | 손대순 | 데이터사이언스학부 | 김동규 | 춘천성심병원 |
5 | BT/HT | TGFb-Trap 펩타이드-BiTE 개발 및 기전 분석에 관한 연구 | 오상욱 | 바이오메디컬학과 | 박성택 | 강남성심병원 |
김형수 | 강동성심병원 / (주)이온셀 | |||||
6 | HT/IT | PET/CT의 감쇠보정용 CT를 이용한 인공지능 기반의 관상동맥 석회화 CT영상 생성 및 관상동맥 석회화 점수 평가 시스템 개발 | 원동욱 | 인공지능융합학부 | 이석현 | 강남성심병원 |
7 | BT/HT/IT | AI 기반 대사증후군 특이 마이크로바오윰 바이오마커 및 치료제 개발 | 이은주 | 소프트웨어학부 | 석기태 | 춘천성심병원 |
오기광 원성민 윤상준 |
한림대 소화기연구소 | |||||
8 | BT/HT | 치매 및 치매유래 말초조직질환 극복연구 | 이찬희 | 미래융합스쿨 | 손종희 | 춘천성심병원 |
9 | BT/IT | AI 기반 역합성 분석 및 난치병 치료제 발굴을 위한 연구 | 최종환 | 소프트웨어학부 | 전세진 | 의학과 |
박종국 | 바이오메디컬학과 | |||||
이정태 | 화학과 | |||||
10 | HT/IT | 대장용종절제시 완전절제 여부를 판별할수 있는 의료 인공지능의 개발 | 허종욱 | 소프트웨어학부 | 오창교 | 강남성심병원 |
11 | HT/IT | HERO(한림 빅데이터 시스템)을 활용한 급성 신손상 예측모델 개발 및 자동 협진 시스템 디자인 | 황현석 | 경영학과 | 김성균 민세홍 정수진 |
한림대학교성심병원 |
* 융합유형: BT(바이오기술), IT(정보통신기술), HT(보건의료기술)
- 2025년 제2기 융합 연구 과제
가. [자유주제] 융합과제
연번 | 과제명 | 과제책임자 | 연구기간 | |
---|---|---|---|---|
성명 | 소속 | |||
1 | 알츠하이머병 병리 기전에 대한 라디칼 유발 화합물의 영향 규명 연구 | 김민주 | 의학과 | 2025.06.01~2026.01.30 |
2 | 폐색전증 진단 지원을 위한 비조영 CT 영상의 조영 이미지 생성 | 김유섭 | AI융합연구원 | |
3 | 실제 임상 데이터의 불완전성에 강건한 의료 AI 모델 연구 | 노원종 | AI융합연구원 | |
4 | 아토피 피부염 모니터링용 휴대용 황색포도상구균 자가진단 키트 개발 | 박민 | 미래융합스쿨 | |
5 | 통풍 발생 위험도 예측모형 및 쇼그렌증후군의 진단 검사 정확도 평가 방법 개발 | 손대순 | 데이터사이언스학부 | |
6 | 공공의료 데이터와 병원 기반 임상데이터웨어하우스 분석을 통한 프로톤펌프억제제 사용 적정성 평가 및 프로톤펌프 억제제와 광범위 항생제의 병용투여와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CRE)장집락간의 연관성 평가 연구 | 심진아 | 인공지능융합학부 | |
7 | 신장암 조기진단을 위한 멀티모달 병리 슬라이드 이미지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AI 프로토타입 개발 | 원동욱 | 인공지능융합학부 | |
8 | AI 기술과 멀티오믹스 데이터 기반 간경변증과 근감소증 질환 연관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바이오마커 발굴 연구 | 이은주 | AI융합연구원 | |
9 | 간호·통계 융합 기반 실사용데이터 활용 인공지능 모델링 및 보건의료 데이터 인프라 구축 | 이정민 | 간호학과 | |
10 | 치매 및 치매-유래 장질환 모델에서 장-뇌 축 신경회로 제어를 통한 GLP-1/DPP4 조절기전 연구 | 이찬희 | 미래융합스쿨 | |
11 | 머신러닝 기반 만성질환자 건강생활습관 고위험군 예측 모형 개발 및 적용 | 최용준 | 의학과 | |
12 | 딥러닝 기반 3D 홀로토모그래피 세포 분석 및 진단 | 허종욱 | 소프트웨어학부 |
나. [자유주제] 산학과제
연번 | 과제명 | 과제책임자 | 연구기간 | |
---|---|---|---|---|
성명 | 소속 | |||
1 | 기능성 펩타이드전달 시스템 구축: 기억력 증진 펩타이드를 세포에 전달하는 인공지능 기반 리소좀 표적 de novo 단백질 전달체 개발 및 전임상 평가 | 고영호 | 일송생명과학연구소 | 2025.06.01~2026.01.30 |
2 | 생애주기별 피부 지질대사체 작용 기전 규명을 통한 항노화 기능성 소재 개발 | 박경호 | 식품영양학과 | |
3 | 의료 IoT를 위한 차세대 의료기 센서 연구: 기관내 튜브용 실시간 커프 압력 감지 기술 개발 | 박재훈 | 소프트웨어학부 | |
4 | PDE5 억제제 (AR1001)가 뇌허혈증 후 발생하는 해마의 BBB 손상에 미치는 영향 | 서상원 | 의학과 | |
5 | AI 기반 HPV 자가검사 및 예방 관리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파일럿 테스트* | 신동수 | 간호학과 | |
6 | 암세포 선택적 ROS 증폭과 세포사를 유발하는 신규 대장암 치료제 개발 | 오권익 | 의학과 | |
7 | CAR-T 세포 치료제의 종양살상 효율 강화를 위한 펩타이드-Trap BiTE 응용 연구 | 오상욱 | 바이오메디컬학과 | |
8 | 디지털 트윈 기반 중재간호 실습 플랫폼 개발: 정맥주사 및 ECMO 시뮬레이션 중심으로 | 이수정 | 간호학과 | |
9 | 인간 시각지능을 모사하는 얼굴 이미지 기반 수면 질 평가 딥러닝 모델 연구 | 이정근 | AI융합연구원 | |
10 | 암병변 탐지용 의료영상 관련 기술 연구 | 정태경 | AI융합연구원 | |
11 | In silico 기반 약물화 가능 인간 또는 바이러스 표적 단백질식별 및 AI 기반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치료제 선도물질 발굴 | Nimse Satish Balasaheb | 화학과 |
교원 협업 네트워크 확대 ( 연구 분야 백서 제작 추진 )
- 교원 개인 프로필과 전문 및 관심 연구 분야 자료 수집과 분석을 통한 융합 연구 주제 도출 기획 추진
- AI 융합연구원 및 의료원 시스템과 연계 및 공동 개발 추진

대학 의료원 협업 네트워크 확대 ( 의료원 데이터 활용 공동 연구 활성화 )
- 한림대학교 의료원 통합 의료 데이터 활용을 위한 HERO 플랫폼 공동 연구 활성화 방안 지원
- 대학 병원간 협력 연구 활성화 포럼 개최 및 공동 연구 관리 조직 신설 추진 ( 향후 AI 바이오헬스 센터에서 담당 )
[ 외부 협력 체계 고도화 ]
대학 지자체 협업 네트워크 확대 ( 시도 추진 연구 사업 기획 지원 )
- 연구개발 특구 유치 추진 지원

-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기반 구축 지원

대외 협력 네크워크 확장 ( 글로벌 기업 연계 한림 테크 데이 개최 )
- 한림 노벨 테크 데이 개최 ( 바이오 인더스트리 글로벌 2위 기업 써모 피셔 사이언티픽 연계 프로그램 )

해외 협력 네크워크 강화 ( 글로벌 프론티어 리서치 센터 설립 )
- 매사추세츠 의과대학과 의료 인공지능 공동 연구 지원
- 매사추세츠 의과대학-신시네티 간호대학과 디지털 스토리텔링 Cross-cultural 연구 추진
- 하버드 의과대학 의생명정보학부 Yu Lab과 디지털 병리학 연구 추진
- 스텐포드 의과대학 의생명정보학부와 의료 데이터 분석 연구 추진
- 강원도와 보스톤 일차의료 협력체계 구축 추진
- 춘천성심병원 NFRT 연구소 주도 국제 공동연구 협력체계 강화 지원


Lorem ipsum dolor sit amet, facilis ocurreret vim ei, id sea magna populo sanctus. Ut usu altera phaedrum, ceteros albucius at eos. Ad prima ubique oblique ius. Vel no dolorem iudicabit consetetur. Vis tibique convenire ad, sit et erat congue euismod. Pri an noster placerat, in appareat abhorreant eloquentiam usu, qui ei sale scripta fuisset. Ridens officiis deterruisset eam id, usu et sanctus definitiones, alia elaboraret per ei. Pri epicurei recteque theophrastus eu, est clita platonem et. Est et essent eirmod, et has decore adolescens, eam et nibh sanctus. Alterum denique propriae ut cum, ut suas dicunt percipit sea, per ut sint augue.
Lorem ipsum dolor sit amet, facilis ocurreret vim ei, id sea magna populo sanctus. Ut usu altera phaedrum, ceteros albucius at eos. Ad prima ubique oblique ius. Vel no dolorem iudicabit consetetur. Vis tibique convenire ad, sit et erat congue euismod. Pri an noster placerat, in appareat abhorreant eloquentiam usu, qui ei sale scripta fuisset. Ridens officiis deterruisset eam id, usu et sanctus definitiones, alia elaboraret per ei. Pri epicurei recteque theophrastus eu, est clita platonem et. Est et essent eirmod, et has decore adolescens, eam et nibh sanctus. Alterum denique propriae ut cum, ut suas dicunt percipit sea, per ut sint augue.
Lorem ipsum dolor sit amet, facilis ocurreret vim ei, id sea magna populo sanctus. Ut usu altera phaedrum, ceteros albucius at eos. Ad prima ubique oblique ius. Vel no dolorem iudicabit consetetur. Vis tibique convenire ad, sit et erat congue euismod. Pri an noster placerat, in appareat abhorreant eloquentiam usu, qui ei sale scripta fuisset. Ridens officiis deterruisset eam id, usu et sanctus definitiones, alia elaboraret per ei. Pri epicurei recteque theophrastus eu, est clita platonem et. Est et essent eirmod, et has decore adolescens, eam et nibh sanctus. Alterum denique propriae ut cum, ut suas dicunt percipit sea, per ut sint augue.